[하스켈 기초][CIS194] 재귀 패턴, 다형성, 프렐류드


하스켈 소개 연습문제 풀이대수적 데이터 타입 연습문제 풀이를 살펴 보면 재귀함수를 직접 구현한 경우와 하스켈이 제공하는 함수를 활용하는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 문제를 재귀적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자주 있지만 실전 하스켈 프로그래밍에서 재귀 함수를 직접 짜는 경우는 거의 없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이론적으로는 무한히 많은 다양한 형태의 재귀 함수가 있을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재귀를 사용해 문제를 풀다 보면 공통적인 패턴을 자주 보게 된다. 이런 패턴의 자세한 내용을 함수로 독립시켜 추상화하고 나면, 구체적인 재귀 구현에 신경쓰지 않고 한 단계 더 높은 층위에서 사고를 진행할 수 있다. 그렇게 한단계 더 높은 층위에서 전체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통밀 프로그래밍이 지향하는 바다.

재귀 패턴

Int를 값으로 가지는 리스트의 정의를 다시 살펴보자.

data IntList = Empty | Cons Int IntList
  deriving Show

IntList에 대해 수행할 수 있는 작업에 어떤 것들이 있을까? 몇가지 일반적인 작업을 꼽아보면 다음과 같다.

  •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게 정해진 연산을 적용한다
  • 리스트의 각 원소를 검사해서 일부 원소만 남겨두고 불필요한 원소들을 제거한다
  •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어떤 방법으로든 “요약”한다(모든 원소의 합계, 모든 원소의 곱, 평균, 최댓값 등등)
  • 다른 일반적인 작업 패턴이 있을지 생각해 보라!

map -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게 정해진 연산을 적용한다

리스트의 모든 원소를 1씩 증가시켜보자. 일부러 (+)를 일반 함수처럼 전위 연산자로 사용했다.

addOneToAll :: IntList -> IntList
addOneToAll Empty       = Empty
addOneToAll (Cons x xs) = Cons ((+) x 1) (addOneToAll xs)

리스트의 모든 원소에 대해 절대값을 구해서 리스트를 양수의 리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absAll :: IntList -> IntList
absAll Empty       = Empty
absAll (Cons x xs) = Cons (abs x) (absAll xs)

또는 모든 원소를 제곱해서 양수의 리스트로 만들 수도 있다. 여기서도 일부러 (*)를 일반 함수처럼 사용했다.

squareAll :: IntList -> IntList
squareAll Empty       = Empty
squareAll (Cons x xs) = Cons ((*) x x) (squareAll xs)

여기서 머릿 속에 큰 전구가 켜진 독자도 있을 것이다. 세 함수는 모두 같은 구조를 공유한다. 이런 공통 구조를 별도로 뽑아낼 수 있다면 굳이 같은 짓을 매번 다시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세 예제의 공통 부분을 어떻게 뽑아내고 서로 다른 부분을 어떻게 구체화할 수 있을까? 서로 다른 부분은 바로 (+), abs, (*)와 같이 각 원소에 적용할 함수다. 각 함수의 타입은 Int -> Int다. 여기서 함수를 함수에 인자로 전달하는 기능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제 공통점을 뽑아내서 mapIntList라는 함수를 만들었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addOneToAll, absAll, squareAll을 만들 수 있다.

exampleList = Cons (-1) (Cons 2 (Cons (-6) Empty))

addOne x = x + 1
square x = x * x

mapIntList addOne exampleList
mapIntList abs    exampleList
mapIntList square exampleList

잠시 종이를 꺼내거나 하스켈 코딩에 쓰는 에디터를 열고, mapIntList를 어떻게 구현할지 생각해 보라.

mapIntList 구현

일단 타입을 먼저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자. mapIntList는 각 원소에 적용할 Int->Int 타입의 함수를 첫번째 인자로 받고, IntList를 두번째 인자로 받아서, 두번째 인자의 모든 원소에 첫번째 인자를 적용한 결과를 새 원소로 하는 IntList를 반환한다.

mapIntList :: (Int -> Int) -> IntList -> IntList

앞의 세 함수 모두 공통적으로 리스트가 비어있을 때는 빈 리스트를 반환한다. 첫번째 인자인 함수는 아무 역할도 하지 않는다.

mapIntList _ Empty = Empty

앞의 세 함수를 살펴보면 리스트가 Cons일 경우에는 Cons의 첫번째 인자(Int 타입)에 대해 원하는 함수를 적용하고, 두번째 인자에 대해 재귀적으로 작업을 수행한 다음, 그 두 결과를 Cons로 묶는다.

mapIntList f (Cons x xs) = Cons (f x) (mapIntList f xs)

구현을 모두 합치면 다음과 같다.

-- mapIntList.hs
data IntList = Empty | Cons Int IntList
    deriving Show

mapIntList :: (Int -> Int) -> IntList -> IntList
mapIntList _ Empty = Empty
mapIntList f (Cons x xs) = Cons (f x) (mapIntList f xs)

addOne x = x + 1
square x = x * x

exampleList = Cons (-1) (Cons 2 (Cons (-6) Empty))

example1 = mapIntList addOne exampleList
example2 = mapIntList abs    exampleList
example3 = mapIntList square exampleList

main = do
        print example1;
        print example2;
        print example3

ghc를 설치하면 따라오는 runhaskell을 사용해 이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runhaskellmain이라는 함수를 실행한다. do는 나중에 배우겠지만 print문을 명령형 언어에서처럼 순서대로 실행하려면 do를 써야 하고, 각 문장 사이를 ;로 구분해야 한다고만 기억해 두자(이 블로그를 작성하는 나도 이에 대해 자세한 부분은 아직 잘 모른다). ;를 없애도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순차적 실행이므로 예전 명령형 언어 기분을 내기 위해 여기서 굳이 ;를 썼다(이 또한 ;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정말 차이가 있는지 없는지 아직 나는 잘 모른다).

E:\blog\example\haskell\cis194\03_recursion
λ runhaskell mapIntList.hs
Cons 0 (Cons 3 (Cons (-5) Empty))
Cons 1 (Cons 2 (Cons 6 Empty))
Cons 1 (Cons 4 (Cons 36 Empty))

결과는 예상대로다.

filter - 검사 결과에 따라 원소 걸러내기

리스트에서 양수만 남겨보자.

keepOnlyPositive :: IntList -> IntList
keepOnlyPositive Empty = Empty
keepOnlyPositive (Cons x xs)
  | x > 0    = Cons x (keepOnlyPositive xs)
  | otherwise = keepOnlyPositive xs

리스트에서 짝수만 남겨 보자.

keepOnlyEven :: IntList -> IntList
keepOnlyEven Empty = Empty
keepOnlyEven (Cons x xs)
  | even x    = Cons x (keepOnlyEven xs)
  | otherwise = keepOnlyEven xs

일반적인 패턴을 filterIntList로 뽑아낼 수 있겠는가? filterIntList를 사용해 keepOnlyPositivekeepOnlyEven를 작성해 보라. 연습문제로 남겨둔다.

fold - 리스트 전체를 한 값으로 요약하기

마지막은 리스트 전체를 한 값으로 요약하는 패턴으로, 보통 접기(fold)나 축약(reduce)이라 부른다. 다음 강의에 다룰 내용이라 여기서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지만 한번 어떻게 이런 패턴을 구현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라.

다형성

Int 리스트를 처리하는 map, filter 등의 멋진 고차함수를 작성했지만, IntegerBool로 이뤄진 리스트를 처리하는 map이나 filter가 필요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또는 리스트의 리스트나 String의 스택 등을 처리해야 한다면? 이런 모든 경우를 처리하기 위한 새 데이터 타입과 새 함수를 정의해야 할 것이다. 더 황당한 것은 이런 모든 데이터 구조에 대한 map이나 filter 등의 함수 구현은 거의 동일하다는 점이다. 차이가 나는 부분은 타입 시그니처(type signature) 뿐이다. 이런 경우 도움이 될만한 기능이 하스켈에 있지 않을까?

물론 하스켈은 데이터 타입과 함수에 대한 다형성(polymorphism)을 지원한다. 다형적인이라는 뜻의 “polymorphic”은 그리스어 πολύμορφος에서 온 말이며, “여러 형태를 지니는”이라는 뜻이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다형성이라는 말은 여러 타입에 대해 작동한다는 뜻이다.

다형적 데이터 타입

먼저 다형적인 데이터 타입을 선언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data List t = E | C t (List t)

(여기서 EC를 사용한 이유는 EmptyCons를 이미 IntList에서 썼기 때문이다. 하스켈에서는 모든 데이터 생성자는 모두 같은 네임스페이스 안에 있기 때문에 이름이 유일해야 한다.)

data IntList = ...에서는 IntList라는 타입 이름 뒤에 아무 것도 없었지만 data List t = ...에는 t라는 변수가 있다. 이 변수를 타입 변수라고 부르며 이 타입 변수는 임의의 타입을 가리킨다. 하스켈에서는 타입 변수는 소문자로 시작해야 하며, 타입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해야 한다. List t라는 타입은 t라는 타입을 파라미터로 받는 List 타입이라는 말이다. 다른말로 List가 파라미터화된 타입이라고 하기도 한다. 함수가 값을 파라미터로 받아서 다른 값을 내놓듯이, 파라미터화된 타입은 타입을 받아서 다른 타입을 만들어낸다.

어떤 타입 t가 주어지면 (List t)라는 타입은 E라는 (인자가 없는) 데이터 생성자와 t 타이의 값과 (List t) 타입의 값을 인자로 받는 C 생성자로 이뤄진다. 다음 예를 보자.

lst1 :: List Int
lst1 = C 3 (C 5 (C 2 E))

lst2 :: List Char
lst2 = C 'x' (C 'y' (C 'z' E))

lst3 :: List Bool
lst3 = C True (C False E)

다형적 함수

이제 filterIntList 함수를 더 일반화해서 다형적인 List에 대해 작동하도록 정의해보자. filterIntList에서 EmptyE로, ConsC로 바꾸기만 하면 쉽게 그런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filterList _ E = E
filterList p (C x xs)
  | p x       = C x (filterList p xs)
  | otherwise = filterList p xs

그렇다면 이 filterList의 타입은 어떻게 될까? ghci가 추론한 타입을 한번 살펴보자. 다음 파일을 만들고,

-- FilterList.hs
data List t = E | C t (List t)

filterList _ E = E
filterList p (C x xs)
  | p x       = C x (filterList p xs)
  | otherwise = filterList p xs

ghci에서 로딩해 :type filterList를 해보자.

E:\blog\example\haskell\cis194\03_recursion
λ ghci FilterList.hs
GHCi, version 8.0.2: http://www.haskell.org/ghc/  :? for help
Loaded GHCi configuration from C:\Users\hyunsok\AppData\Roaming\ghc\ghci.conf
[1 of 1] Compiling Main             ( FilterList.hs, interpreted )
Ok, modules loaded: Main.
*Main> :type filterList
filterList :: (t -> Bool) -> List t -> List t
*Main>

filterList :: (t -> Bool) -> List t -> List t라는 타입 선언은 모든 t라는 타입에 대해 filterListt에서 Bool로 가는 함수를 받고, List t를 받아서 List t를 결과로 반환하는 함수라고 읽을 수 있다.

mapIntList(List t)에 대해 일반화한 mapList는 어떤 타입이 될까? 다음과 같은 타입을 생각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mapList :: (t -> t) -> List t -> List t

하지만 이는 제약이 너무 심한 것이다. 입력으로 받은 리스트의 원소 타입과 반환하는 리스트의 원소 타입이 꼭 같을 필요는 없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타입을 정의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mapList의 타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mapList :: (a -> b) -> List a -> List b
mapList _ E        = E
mapList f (C x xs) = C (f x) (mapList f xs)

실제로 타입을 지정하지 않고 ghci에게 타입 추론을 맡겨도 마찬가지 타입이 나온다.

이렇게 정의된 다형적 함수를 사용할 때, 함수 정의 쪽이 아니라 함수를 사용(호출, 적용)하는 쪽에서 타입을 선택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다형적인 함수는 모든 가능한 타입 입력에 대해 정상 작동한다. 이런 특성은 - 어떤 값의 타입을 기반으로 직접 의사결정을 내리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하스켈의 특성과 함께 - 나중에 설명하게 될 더 중요한 성질의 기반이 된다.

프렐류드

Prelude는 모든 하스켈 프로그램에 묵시적으로 임포트되는 표준 정의들이 들어있는 모듈이다. 한번 프렐류드 문서를 간단히 살펴볼만한 가치가 있다. 프레류드가 제공하는 여러 도구에 익숙해지도록 하라.

물론 Prelude안에 다형적인 리스트 선언이 이미 들어있다. 그리고 리스트를 다루는 다양한 다형적인 함수들도 들어있다. 예를 들어 filtermap은 우리가 본 filterListmapList에 대응한다. 실제 Data.List 패키지에는 더 많은 다양한 유용한 리스트 함수들이 들어있다.

유용한 다형적 타입 중 하나로 Maybe를 들 수 있다.

data Maybe a = Nothing | Just a

Maybe a라는 타입의 값은 내부에 a타입의 값이 들어있거나(그런 경우 a타입의 값은 Just 생성자로 둘러싸여 있다), Nothing이다. Nothing은 오류나 실패 등으로 인해 값이 없음을 의미한다. Data.Maybe에는 Maybe a 타입을 다룰 수 있는 다양한 함수가 들어있다.

전역 함수와 부분함수

[a] -> a라는 다형성 타입을 생각해 보자. 이런 타입의 함수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이런 타입의 함수는 a 타입의 원소를 모아둔 리스트에 대해 어떤 a 타입의 값을 만들어내야 한다. 예를 들어 Preludehead 함수가 이런 타입의 함수다.

하지만 head에 빈 리스트가 들어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head소스 코드를 한번 살펴보라.

head에 빈 리스트가 들어가면 badHead라는 에러가 발생하면서 프로그램이 중단된다! head는 모든 타입에 대해 정상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 head가 취할 수 있는 선택은 오류를 발생시켜 프로그램을 중단시키는 것 뿐이다. 빈 리스트를 보고 어떤 타입의 원소를 내놓아야 할지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head와 같은 함수를 부분 함수(partial function)라고 부른다. head의 인자 타입에 속한 값 중 일부를 head가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인자값 중 일부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정의된) 함수라는 말에서 부분 함수라는 말이 나왔다. 반대로 모든 인자 값에 대해 잘 정의된 함수를 전역 함수(total function)라고 부른다.

하스켈에서 가능하면 부분함수를 피해야 한다. 물론 다른 언어에서도 부분함수를 덜 사용하는 편이 좋다. 하지만 다른 언어의 경우 부분함수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은 상당히 성가신 일이다. 하지만 하스켈에서는 부분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코딩하기 상당히 편하다.

head는 실수다! 하스켈 Preludehead가 들어가서는 안돼는 것이었다. Prelude에 들어있는 다른 부분함수로는 tail, init, last, (!!)이 있다. 이들을 가능하면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앞으로 이런 함수를 숙제에 사용하면 코딩 스타일 관련 점수를 깎을 것이다!

그렇다면 대신 어떤 함수를 써야 할까?

부분 함수 대치하기

head, tail등의 함수를 패턴 매칭으로 대신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다음 두 정의를 비교해보자.

doStuff1 :: [Int] -> Int
doStuff1 []  = 0
doStuff1 [_] = 0
doStuff1 xs  = head xs + (head (tail xs)) 

doStuff2 :: [Int] -> Int
doStuff2 []        = 0
doStuff2 [_]       = 0
doStuff2 (x1:x2:_) = x1 + x2

이 두 함수는 정확히 같은 결과를 내놓고 두 함수 모두 전역 함수다. 하지만 두번째 함수는 명확히 전역 함수이며 어떤 일을 하는지 읽기도 쉽다.

부분 함수 작성하기

그렇다면 부분함수를 직접 작성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두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첫번째는 함수의 출력 타입을 실패를 표현할 수 있는 타입으로 바꾸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앞에서 잠시 소개한 Maybe가 그런 타입이다.

내가 head 함수를 직접 작성해야 한다면 다음과 같이 좀 더 안전하게 작성했을 것이다.

safeHead :: [a] -> Maybe a
safeHead []    = Nothing
safeHead (x:_) = Just x

실제 safe 패키지에 보면 이와 똑같은 일을 하는 headMay 함수가 있다.

이런 접근 방법에는 어떤 이점이 있을까?

  1. safeHead는 절대 프로그램을 중단시키지 않는다.
  2. safeHead의 타입을 보면 입력 중 일부에 대해 safeHead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3. 타입 시스템이 safeHead의 반환 값을 적절히 검사해 Nothing을 제대로 처리하게 강제해준다.

어떤 의미에서는 safeHead부분함수다. 하지만 그 성질을 타입 시스템에 반영시켰다는 점이 원래의 head와는 다르다. 목표는 타입을 사용해 함수의 동작에 대해 가능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좋다. 그렇다면 항상 빈 리스트가 들어오지 않음을 보장하는 경우에만 head를 사용한다면 어떨까? 그런 경우 Maybe a를 사용해야 한다면 절대로 벌어질 수 없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는데도 굳이 Nothing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짜증날 것이다.

답은 실제 그런 조건이 보장된다면 타입에서 그런 보장을 표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타입에 그 사실을 보장하면 컴파일러가 여러분을 대신해 그런 보장을 제대로 검사해준다. 예를 들어,

data NonEmptyList a = NEL a [a]

nelToList :: NonEmptyList a -> [a]
nelToList (NEL x xs) = x:xs

listToNel :: [a] -> Maybe (NonEmptyList a)
listToNel []     = Nothing
listToNel (x:xs) = Just $ NEL x xs

headNEL :: NonEmptyList a -> a
headNEL (NEL a _) = a

tailNEL :: NonEmptyList a -> [a]
tailNEL (NEL _ as) = as

아마도 여러분 같은 코딩 천재에게는 이런 코드가 불필요하다고 생각할 지도 모른다. 물론 여러분이라면 비어있지 않은 리스트를 받아야만 하는 함수에 빈 리스트를 넘기는 것 같은 실수를 결코 저지르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 않은가? 하지만 함께 일하는 사람 중에는 얼간이가 있기 마련이다. 물론 그 얼간이는 지금 여러분이 생각하는 그 사람은 아니다!

연습문제 - 코드 골프

다음 세가지 작업을 수행하면서 지정한 타입과 이름을 만족하는 하스켈 함수를 작성하라. 이때 가능한 짧게 코드를 작성하라.

  • import나 커맨트는 코드 길이에서 제외한다.
  • 커맨트로 해법을 잘 설명해야 한다.
  • 공백은 코드 길이에서 제외한다. 따라서 코드를 공백을 사용해 보기 좋게 작성하라.
  • Golf.hs라는 파일로 숙제를 제출하라. 맨 앞에는 module Golf where가 들어가야 한다.
힌트
  •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를 최대한 많이 사용하라
  • 재귀를 직접 작성하지 말고 해당 패턴을 추상화한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를 사용하라
  • 먼저 길이를 신경쓰지 말고 해법을 도출한 다음에 그 해법을 짧게 다듬어라

연습문제 1 - 홉스코치(Hopscotch)

다음 함수를 작성하라.

skips :: [a] -> [[a]]

출력은 리스트의 리스트다. 출력 리스트의 첫번째 원소인 리스트는 입력 리스트와 같아야 한다. 두번째 리스트는 입력 리스트에서 매 두번째 원소만을 남긴 것이어야 한다. 세번째 리스트는 입력 리스트에서 매 3번째 원소만을 남긴 것이어야 한다. n번째 리스트는 입력 리스트에서 n번째 원소만을 남긴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리스트의 길이는 입력 리스트의 길이와 같아야 한다.

skips "ABCD" == ["ABCD", "BD", "C", "D"]
skips "hello!" == ["hello!", "el!", "l!", "l", "o", "!"]
skips [1] == [[1]]
skips [True,False] == [[True,False], [False]]
skips [] == []

연습문제 2 - 지역적 최댓값(local maxima)

어떤 리스트에서 지역적 최댓값은 자기 직전과 직후의 원소보다 더 큰(같으면 안됨) 원소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2,3,4,1,5]의 경우 4만 지역적 최댓값이다. 5는 아쉽지만 자신의 뒤에 오는 값이 없기 때문에 지역적 최댓값이 아니다.

다음 localMaxima 함수를 정의하라.

localMaxima :: [Integer] -> [Integer]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와야 한다.

localMaxima [2,9,5,6,1] == [9,6]
localMaxima [2,3,4,1,5] == [4]
localMaxima [1,2,3,4,5] == []

연습문제 3 - 히스토그램

다음과 같은 함수를 작성하라.

histogram :: [Integer] -> String

이 함수는 0부터 9 사이의 Integer의 리스트를 입력받아서 각 수가 리스트 안에 몇개씩 들어있는지 보여주는 수직 히스토그램을 출력한다. 입력에 0부터 9까지의 모든 수가 다 들어가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출력은 아래 예제와 똑같은 형식이어야 한다.

histogram [1,1,1,5] ==

 *
 *
 *   *
==========
0123456789

histogram [1,4,5,4,6,6,3,4,2,4,9] ==

    *
    *
    * *
 ******  *
==========
0123456789
노트

ghci에서 histogram [3,5]를 실행하면 " * * \n==========\n0123456789\n"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는 String 타입의 결과 값을 표현(representation)한 것이다. 실제 이 문자열을 시각적으로 보기 위해서는 putStr을 추가해야 한다. 즉, putStr (histogram [3,5])라고 해야 한다.

Related Posts

[코틀린] 코틀린 제네릭 클래스의 타입 특화 제약과 invoke를 통한 해결방법

코틀린 제네릭 타입의 타입 특화 관련 문제점과 invoke와 오버로드 해소를 통해 이런 문제점을 어떻게 우회할 수 있는지 설명함

[프로그래밍기초]정적 타입 지정과 변성

정적 타입 지정과 변성에 대해 정리

[하스켈 기초][CIS194] 폴드와 모노이드

CIS194 7강 폴드와 모노이드에 대해 배운다

[하스켈 기초][CIS194] 다형성과 타입 클래스 연습문제 풀이

CIS194 5강 다형성과 타입 클래스 연습문제 풀이입니다.

[하스켈 기초][CIS194] 지연 계산

CIS194 6강 미리계산, 지연계산, 부수효과, 순수성에 대해 설명하고 패턴 매칭이 식을 평가하는 과정을 어떻게 이끄는지 살펴본 다음, 지연 계산이 프로그램 실행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하스켈 기초][CIS194] 다형성과 타입 클래스

CIS194 5강 다형성에 대해 설명하고 타입 클래스에 대해 설명한다. 연습 문제에서는 타입 클래스를 활용해 DSL을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스켈 기초][CIS194] 고차 프로그래밍과 타입 추론 연습문제 풀이

CIS194 4강 고차 프로그래밍과 타입 추론 연습문제 풀이

[하스켈 기초][CIS194] 4강 - 고차 프로그래밍과 타입 추론

무명 함수(람다) 정의 방법을 알려주고, 함수 합성, 커링, 부분 적용, 폴드와 같은 고차 함수 프로그래밍에 대해 설명한다.

[하스켈 기초][CIS194] 재귀 연습문제 풀이

CIS194 3강 재귀 관련 연습문제 풀이

[하스켈][팁] 하스켈 연산자 검색

하스켈 연산자를 검색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도구 hoogle을 소개한다.